티스토리 뷰
목차
안녕하세요 모스비 엘스비어 널싱스키 기계적 환기 : 용적 및 압력모드 문제 및 정답입니다.
문제 순서는 동일하나 답변은 랜덤으로 바뀌니 아래 내용 꼼꼼히 확인하시고 통과하시길 바라겠습니다.
문제 및 정답
◎대상자가 인공호흡기 이탈 과정에 있으며 현재 Pressure support (PS, 압력보조 설정: 10 cmH2O) 환기를 적용중이다. 대상자가 매우 안절부절하며 분당 25회에서 30회의 호흡을 하고 있다. 다음 중 간호사가 해야 할 행동으로 올바른 것은?
의사에게 알리고 PSV값 증가를 예상한다.
◎외상성 뇌손상 및 증가된 두개내압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관리 계획을 수립할 때 간호사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적절한 것은?
증가된 두개내압으로 인해 대사자는 저용량 환기 및 수동적 과탄산혈증을 견디지 못할 수 있다.
◎대상자는 심각한 호흡 보상이 진행되고 있다. 흉부 X-ray에서는 중증 폐렴과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의 초기 징후가 나타난타. 다음 환기 모드 중 대상자에게 적합한 환기 방법은?
특정한 모드가 명확하게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없다.
◎폐질환의 과거력이 없는 대상자가 급성호흡곤란 증후군(ARDS)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다. 기관 삽괍을 한 68kg 대상자에게 용적 조절 환기(Volume-controlled ventilation, VCV) 모드로 인공호흡기를 적용할 때 일회호흡량으로 적절한 것은?
400mL
◎기계 환기를 하고 있는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(VAP)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권장되는 조치르 가장 올바른 것은?
침상 머리를 30˚에서 45˚로 올린다.
◎간호사가 인고호흡기 이탈 과정에 있는 대상자를 간호하고 있다. 다음 중 허탈된 페포를 열어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대상자가 자발적으로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로 올바른 것은?
지속적 양압 환기(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, CPAP)
◎간호사가 신규 간호사에게 인공호흡기와 인공호흡기 튜브에 응축수가 발생 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. 다음 중 인공호흡기 응축수 관리에 대한 올바른 문장은?
호흡기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인공호흡기 튜브 내에 응축수가 고여 있지 않아야 한다.
◎간호사가 보호자에게 인공호흡기 알람과 그 의미에 대해 교육하고 있다. 다음 중 알람의 목적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?
인공호흡기 알람은 간호사에게 임상적 상태를 경고한다.
◎근무 교대 중 간호사가 인공호흡기 장비를 확인하고 있다. 다음 중 침상 옆에 있어야 할 장비로 적절한 것은?
수동형 소생백(manual resuscitation bag, MRB)
◎간호사가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설정과 호흡 사정 중 인공호흡기 내부 온도계가 44˚C인 것을 발견하였다. 다음 중 올바른 설명은?
이 온도는 열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.